2. 체험 활동
가. 탐구학습과정

|
<청풍문화재단지 연자방아>
긴 널빤지의 중간을 괴어 놓고 양쪽 끝에 한 사람씩 올라서서 번갈아 뛰는 한국의 대표적 민속놀이. 음력 정월 초순이나 5월 단오, 8월 한가위 등 큰 명절에 부녀자들 사이에 전국적으로 행하여지는데 고려 이전부터 전승되어 온 것으로 추측된다.
|
나. 초등학교 학습내용
♣ 수학자 아르키메데스는 '내게 지구 밖에서 지구를 받칠 수 막대와 장소를 달라 그러 면 내가 지구를 옮기리라'라고 말했다고 합니다. 우리는 여기서 힘점, 작용점, 받침점을 생각해야합니다.

다. 중학교 탐구내용
♣ 지레의 원리: 지레 막대와 받침을 이용하여 힘의 이득을 얻는 도구로 중심으로부터 물체까지의 거리 a 와 중심으로부터 용수철까지의 거리 b가 같을 때 무게 W 와 용수철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는 같다.

라. 탐구결론
1) 지레의 평형 조건 - 받침점으로부터 힘점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힘 F의 크기가 감소
2) 힘에는 이득이 있지만 일에는 이득이 없다.
3) 지레의 이용
♣ 1종 지레 받침점이 힘점과 작용점 사이에 있음 ⇒ 펜치, 가위, 장도리, 널 등
♣ 2종 지레 작용점이 힘점과 받침점 사이에 있음 ⇒ 절단기, 병따개 등
♣ 3종 지레 힘점이 받침점과 작용점 사이에 있음 ⇒ 젓가락, 핀셋, 쪽 집게 등
4) 널뛰기 운동 분석
♣ 널뛰기를 할 때 평형이 이루어지면 같은 몸무게의 두 사람은 중앙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으며 올라간 높이도 서로
같다.
♣ 몸무게가 2배가 될 때 에는 몸무게가 작은 사람이 큰 사람보다 중앙으로부터 2배의 거리에 있어야한다.
♣ 널뛰기는 철수의 운동에너지가 영수의 위치에너지로 전환되며 영수의 위치에너지는 내려오면서 운동에너지로 전환되며 영수의 운동에너지는 철수의 위치에너지로 전환된다.
♣ 단순한 놀이기구인줄 알았던 널뛰기에 지레의 원리와 역학 적에너지 보존의 법칙을
설명 할 수 있는 좋은 도구임을 이해했다. 특히 널뛰기를 탈 때 상대방의 몸무게를 생각하여 자리를 잡는 법을 알 수 있었고 역학적 에너지의 보존을 알 수 있다.
마. 참고 사이트
청풍랜드(
http://www.bigbungee.com/ )
이동준의
자바실험실
(http://www.science.or.kr/sa0educ/01/02e/viewList_2083.jsp?selMenu=ab)
|